목차
교사들의 교육 만족도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우울한 스승의 날… "다시 태어나도 교직" 20%뿐
교사들이 자신이 선택한 교직에 대한 만족도가 조사를 실시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
www.dt.co.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스승의 날을 하루 앞둔 14일 지난달 28일부터 8일까지 전국 초·중·고교·대학 교사 6751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교직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23.6%로 10명 중 2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교총이 같은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교사들의 만족도는 2006년에 67.8 퍼센트였지만, 그 이후로 꾸준히 감소하여 3분의 1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다시 태어나도 교직을 선택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20.0%만이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이 역시 설문조사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최저치입니다.
최근 1~2년 사이 사기가 어떻게 변했느냐는 질문에 87.5%가 하락했다고 답했습니다. 학교에서 교권이 보호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69.7%가 보호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삶을 가르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문제행동, 부적응 학생 등 생활지도'(30.4%)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부모 불만 및 관계 유지'(25.2%), '교육과 무관한 과중한 행정업무 및 잡무'(18.2%) 등도 교사 생활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조사됐습니다.
정부의 예약 통합 추진 등 정부의 교육개혁안이 교사들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는 기대가 매우 적었고 68.3%가 부정적인 답변을 선택했습니다.
교사들은 교권 보호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정당한 교육활동과 생활지도를 위한 민형사상 면책'(96.2%)을 꼽았습니다.
응답자들은 '교권 침해 발생 시 교사가 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교육활동의 특정 공간으로 이동'(90.4%), '휴학 및 학생상담'(89.9%), '수업종료명령'(87.%)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교사들이 학생 수업과 생활지도에 전념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권한 회복, 민원·소송 면책, 불필요한 행정업무 폐지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학교 차원의 교육과 훈육 활동으로 개선되지 않는 학생들의 훈육을 위해 외부 지원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실제교육교원단체협의회가 지난달 30일부터 10일까지 전국 교사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의 87.7%가 학생들의 기강을 뒷받침하기 위해 특수기관을 확대·신설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수업권을 보장할 권한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응답자의 91.4%는 "학교가 수업을 방해하는 학생들에게 수업권을 보장할 권한과 장치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또 2012년부터 연 2회 실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55%, 사안이 발생했을 때 집단조사가 아닌 개별 인증을 통해 조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75%로 가장 많았습니다.
씁쓸한 스승의날…“다시 태어나도 교사” 5명 중 1명뿐
교사들이 느끼는 교직 만족도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승의 날을 하루 앞둔 14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news.kmib.co.kr